티스토리 뷰
지난 3월 13일 삼성전자에서는 갤럭시 S2를 기존 진저브레드(Android 2.3)에서 아이스크림 샌드위치(Android 4.0)으로 업그레이드를 진행했다. 국내 스마트폰에서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버전을 탑재하고 있는 스마트폰은 갤럭시 넥서스가 유일했다. 물론, 갤럭시 넥서스는 구글의 '레퍼러스폰'으로 아이스크림 샌드위치(IceCream Sandwich. 이하, ICS라고 함)버전을 세계 최초로 탑재하고 출시한 스마트폰이다. 그러니 갤럭시 S2의 ICS 업그레이드는 최초의 ICS 업그레이드로 주목받을 수 밖에 없다.
이미 스마트디바이스 블로그에는 '갤럭시S2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업그레이드 하고보니'라는 글을 통해서 갤럭시 S2의 ICS 업그레이드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었고, '갤럭시S2 ICS 진저브레드로 다운그레이드 방법'이라는 글을 통해서 갤럭시 S2 출시 당시의 진저브레드 버전으로 돌아갈 수 있는 방법도 소개했다.
갤럭시S2가 ICS로 업그레이드된 이후 사용자에게 보다 유익한 내용들이 많이 등장했다는 것은 사실이다. 물론, 기존 갤럭시S2의 진저브레드에 적응된 상태이므로 ICS로 업그레이드한 갤럭시 S2가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ICS를 통해서 새로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을 잘 살펴보면 분명히 ICS로 업그레이드한 갤럭시 S2의 매력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ICS로 업그레이드한 갤럭시 S2의 특장점에 대한 이야기를 보다 자세하게 두편의 글을 통해서 이야기하려고 한다. 이번 글에서는 강력한 퍼포먼스와 기능이 추가된 브라우져 기능과 전화(연락처) 관련하여 보다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변경된 내용을 소개할 것이다.
우선 브라우저 기능에서 갤럭시 S2의 ICS 업그레이드 이후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지금 살펴보자!
이런 경우 웹사이트에서 'PC버전'으로 볼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의 버튼을 이용하여 웹사이트를 전환해야 한다. 물론, 그런 'PC버전' 보기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라면 모바일 페이지로만 볼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불편함을 ICS로 업그레이드 한 갤럭시 S2에서는 보다 쉽게 '데스크톱 보기'라는 기능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다. 사용방법 역시 간단하니 아래 캡쳐화면을 보면 쉽게 이해가 되고 따라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캡쳐화면을 조금 더 쉽게 설명하면 갤럭시 S2를 포함한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의 인터넷은 기본적으로 모바일 페이지를 표시하게 되므로 www.daum.net과 같은 주소를 입력하면 모바일 기기인지를 확인하여 주소(url)가 m.daum.net과 같은 모바일 주소로 자동 변환된다. 그런데 메뉴에 있는 '데스크톱 보기'를 체크하면 www.daum.net를 입력해도 모바일 주소로 변환되지 않고 입력한 주소 그대로 웹사이트를 로딩하여 컴퓨터(PC)에서 보던 그대로를 갤럭시 S2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해야 하는 부분은 아주 간단하다.
시크릿 창 자체에는 위에 보이는 것처럼 '시크릿 창'이 제공하는 기능이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어 일반 창하고 다르다는 것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어떤 기능을 제공하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시크릿 창에서 인터넷 서핑을 하게 되면 검색기록과 브라우저 기록, 쿠키 등의 기록이 저장되지 않고 사라지므로 사용 흔적을 없앨 수 있다.
다른 사용자의 ICS로 업그레이드된 갤럭시 S2를 빌려 사용하거나, 특정 사이트에 대한 이력을 남기지 않으려면 시크릿 창을 실행하여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브라우저 내부에 이런 기능이 별도로 존재한다는 것은 갤럭시 S2와 같은 스마트폰에서는 인터넷 서핑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다른 기능과 달리 밝기와 색상을 별도로 조절하여 사용자의 입맛에 맞는 인터넷 환경을 설정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설정을 통해서 '절전'까지 된다고 하니 기억해두자.
홈페이지로 지정한 Daum이 열리지 않고 기존에 실행했던 웹사이트인 스마트디바이스가 실행된 것을 보면 리커버리 기능이 잘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브라우저 리커버리 기능은 갤럭시 S2에서 인터넷 서핑을 하다가 에러로 창이 닫혔을 때 열어놓았던 창들을 복구하여 에러 전에 확인하던 내용을 주소(url)를 기억하지 않아도 쉽게 다시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까지 확인해 본 것이 갤럭시 S2의 '브라우저(인터넷)'에서 변경된 내용이다. 브라우저의 기능이 추가되면서 갤럭시 S2에서 사용하는 인터넷이 컴퓨터(PC)에서 사용하던 인터넷 환경에 많이 유사해졌음을 알 수 있고, 그만큼 사용자들은 갤럭시 S2에서 인터넷을 보다 쾌적하게 즐길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면 이제 ICS로 업그레이드된 갤럭시에서 '전화(연락처)' 기능은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보자!
이런 변화는 기존에 전화와 연락처가 너무 유사해서 기능적인 혼동을 불러 올 수 있었기 때문에 전화와 연락처라는 이름에 맞는 기능을 중심으로 구성하여 두가지를 확실히 구분하였다. 이런 구분이 사용자에게는 직관적인 변화로 느끼게 되어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전화와 연락처로 구분하여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그룹핑 된 연락처 정보를 누르면 그룹핑 된 정보를 펼쳐서 확인할 수 있다. 하루에도 수십건의 전화통화를 하는 분들은 최근기록에 동일한 연락처 정보로 도배(?)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최근기록에서 연락처 정보를 찾는 것이 어려운데 이때 그룹핑이 되면 사용자와 타입별로 기록이 정리되어 보다 원하는 연락처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다.
기존 갤럭시 S2는 'UTF-8'코드로 연락처가 저장되었으나 ICS로 업그레이드되면서 UTF-8과 함께 EUC-KR 방식을 지원하여 원하는 방식으로 연락처 명함을 저장/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연락처 명함 저장 코드는 연락처를 실행하고 메뉴 버튼에서 '설정'을 선택하면 된다. 위와 같은 창이 나타나면 '연락처 명함 코드 설정'이라는 메뉴를 선택하여 UTF-8과 EUC-KR을 선택하면 된다.
[참고] UTF-8과 EUC-KR은 무엇인가?
UTF-8은 유니코드(세계 각국의 언어를 통일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게 제안된 국제적인 코드 규약)로 인터넷에 올릴 HTML 파일을 유니코드로 작성할 때는 반드시 UTF-8로 사용된다. EUC-KR은 한글과 '한국에서 통용되는 한자' 그리고 '영문'을 표시할 수 있다.
한글을 표시한다는 것은 동일하지만, EUC-KR에서는 한글 1글자가 2바이트이지만, UTF-8에서는 한글 1글자가 3바이트이다. 용량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최근에는 UTF-8을 디폴트 인코딩사용한다. 물론 EUC-KR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EUC-KR로 인코딩해야 하며, 과거에는 EUC-KR을 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EUC-KR도 알아두는 것이 좋다.
여기까지 살펴본 것이 'ICS(아이스크림 샌드위치)'로 업그레이드된 갤럭시 S2의 인터넷(브라우저)와 전화(연락처) 기능이 새롭게 변경된 부분들이다. 이런 변화가 인터넷에서 잘 알려지지 않고 있는 것은 이미 존재하던 기능을 조금 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완된 느낌이 강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과정 중에 더욱 편리하게 갤럭시 S2를 사용하게 되고 이전부터 이런 기능이 존재했다고 생각이 들 정도로 작은 변화지만 커다란 편리함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ICS로 업그레이드된 갤럭시 S2의 변화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다음 글에서는 가장 많이 알려진 변화인 '얼굴 인식 기능(Face Unlock)'을 비롯하여 다양한 환경설정 사용성 개선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 이번 글에서 사용된 캡쳐화면(사진)은 클릭하면 보다 크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
'스마트폰 > 갤럭시 S2'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S2 ICS 업그레이드에 관한 FAQ (4) | 2012.04.05 |
---|---|
갤럭시S2, 아이스크림 샌드위치로 이렇게 변했다! 환경설정편 (3) | 2012.04.04 |
갤럭시S2 ICS 진저브레드로 다운그레이드 방법 (57) | 2012.03.24 |
갤럭시 S2용 ICS에 더 넣어야 할 것들 (7) | 2012.03.22 |
갤럭시S2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업그레이드 하고보니.. (1) | 2012.03.15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